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살펴보자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살펴보자

 

실업급여에 대해 알고계십니까? 정당한사유에 의해서 퇴사를한경우에는 실업급여라는것을 받을수가 있을텐데요, 이번시간에는 모의계산을 통해서 여러분들의 실직한동안 이 실업급여를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해드리도록 할텐데요. 많은분들께서는 이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통해서 먼저 계획을 짤 수 있으며 어떤일을 할것인지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오늘을 통해서 알아본다음 따라서 계획을 해보도록 하세요.

 

 

실업급여 모의계산을 해보기위해서는 고용노동부에서 이용을 할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등에서 고용노동부 e-자가진단을 검색하시면

쉽게 페이지를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그럼 위의 사진과같은 e-자가진단 시스템이 보여지게 되는부분이죠.

이중에서 모의계산 메뉴를 선택해주시면 활용이 가능하겠습니다.

 

 

그런다음 모의계산 활용하는 방법과 유의사항에 대해서 읽어주시면 되겠죠?


 


 

먼저 계산하기위해서는 나이 퇴사당시에 만나이를 알고 입력해주셔야해요.

본인의 주민등록번호 앞자리만 입력해주시면 되겠죠?

그리고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입사와 퇴사기간)을 기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곳에 자동적으로 계산기간, 근무기간, 월 급여액, 평균 급여액, 월 납부 보험료등이

보여질텐데요, 그럼 예를들어서 한번 알아볼께요.

 

 

위와같이 입력을 해보니 1일 평균 급여액 80,219원,

월 납부 보험료 15,816원이 보여지게 되겠습니다.

그럼 나의 1일 실업급여는 얼마정도 받아볼 수 있을까요?

결과보기를 하면 확인이 가능하겠죠?

 

 

1일 실업급여 수급액 40,176원 예상지급일 수 90일 총 예상수금액에 관하여

이렇게 확인을 해볼수가 있겠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액은 퇴직 전 3개월간의 1일 평균급여의 50%라하여서

이점을 주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상한액은 이직일로부터 2015년 이후는 1일당 4만3천이 되겠으며

2006년 이후는 4만, 2006년 이전은 3만 5천이라고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오늘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을 안내해드려보았습니다.